세계에서 가장 높은 위암 발병률을 가지고 있는 한국, 한국인들이 위암이 잘걸리는 이유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되었습니다. 그 원인은 바로 대사증후군(비만 전후)으로 대사증후군과 위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가 되어 화제입니다. 서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40-69세 10만8천397명을 9.1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, 대사증후군과 위암 발병 사이에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발표했습니다.


대사증후군은 허리둘레, 공복혈당, 혈압, 중성지방, 고밀도 콜레스테롤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3개 이상일 때를 말하며, 고령화와 실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운동 부족과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 등으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국내 65세 이상 고령층만 봐도 2명 중 1명이 대사증후군에 속합니다. 👉먹을수록 허기지는 음식은?

연구팀은 9.1년 동안 추적 조사한 대상 중 0.7%인 759명에서 위암이 발생했습니다. 연구팀은 위암이 발병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이 각 그룹에 미친 영향을 살폈는데,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대사증후군이 없는 사람보다 위암 발생 위험이 26% 높은 것으로 추산됐습니다. 👉장기에 낀 지방 녹이는 방법


특히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 수가 많을수록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했으며, 이 중에서도 흡연과 비만의 복합적인 작용이 동반하면 위암 발생 위험이 더욱 높아졌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.

연구팀은 대사증후군이 여러 대사질환의 집합체이며, 인슐린 및 지방 분비 호르몬 등을 증가시켜 에너지가 과다한 환경을 만들고, 체내 유전자(DNA) 손상과 종양 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 변화, 염증 등을 유발함으로써 위암을 포함한 암 발생을 촉진한다는 것을 추정했습니다.